728x90
문자형이 입력값으로 오는 경우와 다르게 실수값이 입력되는 경우 float() 함수를 이용하여 데이터 타입을 변경해야한다.
a=input()
a=float(a)
print(a)
위 코드로 제출해보면 잘못된 풀이로 나온다.
머리아프게 소수점 6자리까지 표현해야한다.
파이썬에서 문자열 포매팅을 이용하여 출력을 제어할 수 있다.
문자열 포매팅이란 문자열 안에 어떤 값을 삽입하는 방법이다.
이때 아래와 같은 문자열 포맷코드가 필요하다.
여러가지 쓰임새가 있지만 이 문제에서 다룰 것은 '%f'이다.
%f를 이용하여 출력하면 소수점 아래 6자리까지 표현하여 출력할 수 있다. (기본값이 소수점 6자리까지이며 변경가능하다.)
a=('%f' %a)
print(a)
print('%f' %a)
a의 표현을 먼저 바꾸고 a를 출력하는 방법과 print()안에서 표현을 바꾸면서 출력하는 두 가지 형태의 방법이 있다.
그래서 위 코드를 실행시켜 임의로 소수점 아래 7자리 수인 2.7222222과 소수점 아래 2자리 수인 2.72를 입력값으로 했을 때 소수점 아래 6자리까지 출력되는 것을 알 수 있다.
위의 print(type(a))의 주석처리를 풀어 데이터 타입을 살펴봤을 때
a=('%f' %a) 에 의해서 데이터 타입이 'str'으로 변한 것을 알 수 있다. (: 문자열 포매팅)
반응형
'Algorithm > CodeUp - Python' 카테고리의 다른 글
기초 100제 - 1014 : [기초-입출력] 문자 2개 입력받아 순서 바꿔 출력하기(설명) (0) | 2019.12.04 |
---|---|
기초 100제 - 1013 : [기초-입출력] 정수 2개 입력받아 그대로 출력하기(설명) (0) | 2019.12.04 |
기초100제 - 1011 : [기초-입출력] 문자 1개 입력받아 그대로 출력하기(설명) (0) | 2019.12.04 |
기초 100제 - 1008 : [기초-출력] 출력하기08(설명) (0) | 2019.12.03 |
기초 100제 - 1007 : [기초-출력] 출력하기07(설명) (0) | 2019.12.0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