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첫번째 줄에 학생 수 N이 주어진다.
=> 반복문을 통해 변수에 값을 하나씩 받으라는 의미인 것 같지만, 그냥 받은 입력값을 사용하지 않았다.
다음 줄에는 N명의 학생 점수가 공백 하나를 사이에 두고 주어진다.
=> 2번 줄을 통해 'a' 리스트에 담았다.
학생들의 점수는 0 이상 1000 이하의 정수이다.
=> 후에 최대, 최솟값을 받을 변수로 max,min을 사용할 것이다. max 값으로 0, min 값으로 1000을 할당해 후에 조건문을 통해 점수 비교할 기반을 마련한다.
5: for 문을 통해 리스트의 값을 하나씩 'i'로 가져온다.
6: i의 데이터형을 정수형으로 변환한다.
7, 8: if 문으로 i가 min(최솟값)보다 작을 때 변수 'min'에 'i' 값을 저장한다.
9, 10: elif 문으로 i가 max(최댓값)보다 클 때 변수 'max'에 'i' 값을 저장한다. (이것을 위해 3, 4번에 값을 지정한 것이다.)
11: 마지막으로 for문을 통해 얻어진 max, min값의 차를 출력한다.
테스트 케이스 결과:
반응형
'Algorithm > CodeUp - Python' 카테고리의 다른 글
기초 100제 - 1061 : [기초-비트단위논리연산] 비트단위로 OR 하여 출력하기(설명) (0) | 2019.12.14 |
---|---|
4846 : 사과 (0) | 2019.12.13 |
기초 100제 - 1060 : [기초-비트단위논리연산] 비트단위로 AND 하여 출력하기(설명) (0) | 2019.12.12 |
기초 100제 - 1059 : [기초-비트단위논리연산] 비트단위로 NOT 하여 출력하기(설명) (0) | 2019.12.12 |
기초 100제 - 1058 : [기초-논리연산] 둘 다 거짓일 경우만 참 출력하기 (0) | 2019.12.1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