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deal insane

Resistance ∙ Pioneer ∙ 생산자

Algorithm/CodeUp - Python

4891 : 행복

Idealinsane 2019. 12. 13. 14:52
728x90


 

첫번째 줄에 학생 수 N이 주어진다.

=> 반복문을 통해 변수에 값을 하나씩 받으라는 의미인 것 같지만, 그냥 받은 입력값을 사용하지 않았다.

 

다음 줄에는 N명의 학생 점수가 공백 하나를 사이에 두고 주어진다.

=> 2번 줄을 통해 'a' 리스트에 담았다.

 

학생들의 점수는 0 이상 1000 이하의 정수이다.

=> 후에 최대, 최솟값을 받을 변수로 max,min을 사용할 것이다. max 값으로 0, min 값으로 1000을 할당해 후에 조건문을 통해 점수 비교할 기반을 마련한다.

 

5: for 문을 통해 리스트의 값을 하나씩 'i'로 가져온다.

6: i의 데이터형을 정수형으로 변환한다.

7, 8: if 문으로 i가 min(최솟값)보다 작을 때 변수 'min'에 'i' 값을 저장한다.

9, 10: elif 문으로 i가 max(최댓값)보다 클 때 변수 'max'에 'i' 값을 저장한다. (이것을 위해 3, 4번에 값을 지정한 것이다.)

11: 마지막으로 for문을 통해 얻어진 max, min값의 차를 출력한다.

 

테스트 케이스 결과: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