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530 : [기초-함수작성] 함수로 문자 A 리턴하기 return을 이용하라고 한다. 함수 안에 return 코드(2번줄)를 입력하고, 함수를 출력하면 된다. 굳이 왜 이렇게 할까? return 대신 print를 사용하면 더 간단한데. 이 문제에서는 print를 return 대신 사용하는게 더 좋지만, 후에 함수 값을 사용해야 할 상황이 생긴다면 return 값이 필요하다. return과 print의 차이 Algorithm/CodeUp - Python 2019.12.19
1528 : [기초-함수작성] 함수로 *문자 출력하기 1526, 1527 문제와 같다. 출력문만 '*'로 수정해준다. Algorithm/CodeUp - Python 2019.12.19
1527 : [기초-함수작성] 함수로 123 값 출력하기 1526 문제와 같다. 출력 문자열만 '123'으로 변경하면 된다. Algorithm/CodeUp - Python 2019.12.19
1526 : [기초-함수작성] 함수로 hello 문자열 출력하기 함수를 만들 때는 definition을 의미하는 키워드 def를 사용한다. 사용방법은 def 뒤에 '함수이름():' 형식으로 코드를 작성하고 다음 줄부터 함수가 처리할 코드만큼 들여쓰기하여 표기한다. 함수를 사용할 때는 '함수이름()'을 통해 함수를 호출할 수 있다. Algorithm/CodeUp - Python 2019.12.19
기초 100제 - 1075 : [기초-반복실행구조] 정수 1개 입력받아 카운트다운 출력하기2(설명) 전 문제와 비슷하다. 입력값보다 1이 작은 값부터 출력되야하니 입력값보다 1이 작은 값을 변수 'a'에 저장하고, 0까지 출력되야하니 while 문의 비교연산자로 등호가 포함된 '>='을 사용한다. 테스트 케이스 결과: Algorithm/CodeUp - Python 2019.12.18
기초 100제 - 1074 : [기초-반복실행구조] 정수 1개 입력받아 카운트다운 출력하기1(설명) 입력값을 받아 정수형으로 변환하여 변수 'a'에 저장한다. while 문을 이용하여 a의 값을 출력하고, 1만큼 값을 줄이는 것을 반복되게 한다. a의 값이 0보다 크지 않으면 멈추도록 하여 a가 1일 때까지 출력되도록 한다. 테스트 케이스 결과: 입력되는 정수의 범위가 1~100이기 때문에 '-7'이 입력될 때 아무것도 출력되지 않아도 된다. Algorithm/CodeUp - Python 2019.12.18
기초 100제 - 1073 : [기초-반복실행구조] 0 입력될 때까지 무한 출력하기2(설명) c언어를 기준으로 만들어진 문제인지 파이썬의 풀이는 1071문제와 동일하다. Algorithm/CodeUp - Python 2019.12.18
기초 100제 - 1072 : [기초-반복실행구조] 정수 입력받아 계속 출력하기(설명) 입력되는 정수의 개수를 변수 'n'에 저장한다. (n을 쓸 일이 없지만 입력 조건에 따라 입력받아야 한다.) 공백을 두고 입력되는 n개의 정수를 공백을 기준으로 나누어 리스트형으로 'a'에 저장한다. for 문을 사용해 리스트 'a'에 요소를 하나씩 출력한다. 테스트 케이스 결과: Algorithm/CodeUp - Python 2019.12.18
기초100제 - 1071 : [기초-반복실행구조] 0 입력될 때까지 무한 출력하기1(설명) 입력값을 공백을 기준으로 나누어 리스트 형태로 'a'에 저장한다. for 문을 사용해 리스트 'a'의 값을 차례대로 i에 대입하여 '0'이면 for문을 끊고, '0'이 아니면 출력한다. 입력값이 문자열 형태이기 때문에 if문에서 비교연산에서 문자인 '0'을 사용했다. 테스트 케이스 결과: Algorithm/CodeUp - Python 2019.12.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