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deal insane

Resistance ∙ Pioneer ∙ 생산자

Algorithm/CodeUp - Python 91

기초 100제 - 1050 : [기초-비교연산] 두 정수 입력받아 비교하기2(설명)

비교연산자 '=='를 사용한다. 'a==b'는 a와 b가 같으면 'True'값을 나타내고, 다르면 'False'값을 나타낸다. 테스트 케이스 결과: 2, 3줄 코드를 주석처리하여 데이터형 변환을 제거하고, 입력값에 문자를 넣으면 비교연산자가 문자열 데이터형에도 사용할 수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비교연산자를 바꿔 'a>b'로 실행했을 때 결과: 아스키코드에 따라 값이 나타나는 것 같다. (A: 65, a: 97, b: 98)

기초 100제 - 1049 : [기초-비교연산] 두 정수 입력받아 비교하기1(설명)

비교연산자는 연산 결과값으로 'True'와 'False'값을 나타낸다. 예를 들어 a>b에서 a가 3, b가 1이며 참으로 'True'를 나타낸다. 이 'True', 'False'의 데이터형은 'bool'이며, Boolean에 대해 알아보면 좋다. 정보 int() 함수를 이용하면 bool 데이터형을 정수로 바꿀 수 있는데, True는 1로, False는 0으로 바뀐다. 테스트 케이스 결과:

기초 100제 - 1047 : [기초-비트시프트연산] 정수 1개 입력받아 2배 곱해 출력하기(설명)

비트시프트연산자는 2진수에서 자리수 이동을 계산해준다. 십진수로 5인 '0101'에 '>'는 연산자 좌측 값에 '*1/2' 연산을 우측 값만큼 한다고 생각할 수 있는데, 위 문제 그림에 마지막 a>>2 를 보면 뒤에 이진수 '10'이 밀려난 것을 볼 수 있다. 소수점으로 판단해 '0.5'로 생각할 수도 있는데 결과가 '2'인 것으로 보아 시프트 연산으로 밀려난 1 미만의 부분은 폐기되는 것으로 보인다.

기초 100제 - 1046 : [기초-산술연산] 정수 3개 입력받아 합과 평균 출력하기

1: 입력값을 받아 공백을 기준으로 나누고 변수 3개에 각각 저장한다. 2~4: 데이터 형을 정수형으로 변환한다. 5: 합을 구해 변수 'd'에 저장한다. 6: 합과 평균을 줄을 바꿔 출력해야 하므로 따로 print() 함수를 사용하여 출력한다. 먼저 합 7: 반올림하여 소수점 이하 첫째 짜리까지 출력하기 위해 먼저 3으로 합을 나누고 '%.1f'를 사용하여 출력한다. 테스트 케이스 결과:

기초 100제 - 1045 : [기초-산술연산] 정수 2개 입력받아 자동 계산하기

요구사항이 많은 문제지만, 결국 '+', '-', '*', '//', '%', '/' 연산자를 사용해 출력해주면 되는 이전 문제들의 종합이다. 이 코드로 제출하면 잘못된 풀이로 나온다. 출력 조건인 소수점 이하 셋째 자리에서 반올림해 둘째 자리까지 출력에 관한 처리를 하지 않았기 때문이다. 출력시 '%.2f'를 사용하면 소수점 이하 셋째 자리에서 반올림해 둘째 자리까지 출력한다. 테스트 케이스 결과: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