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초 100제 - 1044 : [기초-산술연산] 정수 1개 입력받아 1 더해 출력하기(설명) 입력값(문자열 데이터형)의 데이터형을 정수형으로 변경후 1을 더해 출력하면 된다. 테스트 케이스 결과: Algorithm/CodeUp - Python 2019.12.09
기초 100제 - 1043 : [기초-산술연산] 정수 2개 입력받아 나눈 나머지 출력하기(설명) 나머지를 구하는 연산자는 '%'이다. a%b는 a를 b로 나눈 나머지를 의미한다. 테스트 케이스 결과: Algorithm/CodeUp - Python 2019.12.09
기초 100제 - 1042 : [기초-산술연산] 정수 2개 입력받아 나눈 몫 출력하기(설명) 몫을 구할 때 쓰는 연산자는 '//'이다. a//b는 b로 a를 나눈 몫을 의미한다. 테스트 케이스 결과: Algorithm/CodeUp - Python 2019.12.09
기초 100제 - 1041 : [기초-산술연산] 문자 1개 입력받아 다음 문자 출력하기(설명) 1. 입력받은 영문자를 ord() 함수를 이용해 아스키코드로 변환한다. 2. 변환된 아스키코드에 1을 추가하여 다음문자에 해당하는 아스키코드를 만든다. 3. 아스키코드를 chr() 함수로 문자로 변환해 출력한다. 테스트 케이스 결과: 입력값이 'z'일 때 출력값이 '{'이 나오는데, 이것은 z가 아스키코드에서 마지막 영문자이기 때문이다. '{'가 출력되는게 불편하면 조건문을 통해 출력을 제어할 수 있다. ('{'의 아스키코드는 123이다.) Algorithm/CodeUp - Python 2019.12.09
기초 100제 - 1040 : [기초-산술연산] 정수 1개 입력받아 부호 바꿔 출력하기(설명) 입력값을 받고, 데이터 타입을 정수형으로 바꾸고, '-' 부호를 붙여 출력하면 된다. 테스트 케이스 시험 결과: Algorithm/CodeUp - Python 2019.12.08
기초 100제 - 1039 : [기초-산술연산] 정수 2개 입력받아 합 출력하기2(설명) 파이썬에서는 int 형에서 저장 범위를 넘어가도 따로 처리해줄 것이 없기 때문에 1038 문제와 동일하게 더하면 된다. 테스트 케이스 시험 결과: Algorithm/CodeUp - Python 2019.12.08
기초 100제 - 1038 : [기초-산술연산] 정수 2개 입력받아 합 출력하기1(설명) 입력 조건: 2개의 정수가 공백으로 구분되어 입력된다. 입력값을 split() 함수로 나누어 두 변수에 담고, 정수형으로 변환 후 '+' 연산자로 두 변수의 합을 만들어 출력하면 된다. 임의의 테스트 케이스 확인 결과: Algorithm/CodeUp - Python 2019.12.08
기초 100제 - 1037 : [기초-출력변환] 정수 입력받아 아스키 문자로 출력하기 1036 문제와 반대로 아스키(ASCII) 코드 값을 입력받아 그 코드에 해당하는 문자를 출력하는 함수인 chr() 함수를 사용한다. (ord() chr() ) chr() 함수의 인자로 입력값은 정수형으로 들어가야 한다. '65', '97'을 각각 입력했을 때 해당하는 문자가 출력된다. Algorithm/CodeUp - Python 2019.12.08
기초 100제 - 1036 : [기초-출력변환] 영문자 1개 입력받아 10진수로 출력하기(설명) 문자의 아스키 코드 값을 돌려주는 함수인 ord() 함수를 사용한다. 'A', 'a'를 각각 입력했을 때 아스키 코드 값이 출력된다. Algorithm/CodeUp - Python 2019.12.08
기초 100제 - 1035 : [기초-출력변환] 16진 정수 1개 입력받아 8진수로 출력하기(설명) 1. 16진수를 먼저 10진수로 변환하고, 2. 10진수를 8진수로 출력하면 된다. 1에서 int(a, 16), 2에서 '%o'를 사용한다. 십진수로 15인 16진수 'f'를 입력했을 때 같은 수인 8진수 17이 출력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Algorithm/CodeUp - Python 2019.12.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