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초100제 - 1006 : [기초-출력] 출력하기06(설명) 따옴표만 \로 제어문자 취급하면 되겠지? 시도 1: print('\"!@#$%^&*()\"') 결과 1: Algorithm/CodeUp - Python 2019.12.03
기초100제 - 1005 : [기초-출력] 출력하기05(설명) 1004번 문제와 동일하게 \가 포함된 제어문자를 사용한다: \" 시도 1: print('\"Hello World\"') Algorithm/CodeUp - Python 2019.12.02
기초100제 - 1004 : [기초-출력] 출력하기04(설명) 이번에도 \를 이용한다. 따옴표는 따옴표 사이를 문자열로 인식하는 역할을 한다. 따라서 따옴표의 역할 없이 문자 그대로 출력하기 위해서는 \(따옴표)로 표현해야 한다. 시도 1: print('\'Hello\'') 결과 1: 의도를 벗어난 풀이: 2: 큰 따옴표 안에 작은 따옴표를 포함한 문장을 입력해 출력할 수 있다. Algorithm/CodeUp - Python 2019.12.02
기초100제 - 1003 : [기초-출력] 출력하기03(설명) 제어 문자: 제어 문자는 화면에 출력되지는 않지만 출력 결과를 제어한다고 해서 제어 문자라 부릅니다. 또한, 제어 문자는 \로 시작하는 이스케이프 시퀀스입니다. 문자 앞에 \(백슬래시)를 붙여 지정된 특별한 의미로 사용할 수 있다. \n은 줄바꿈의 의미를 가지고 있다. 시도 1: print('Hello\nWorld') 결과 1: Algorithm/CodeUp - Python 2019.12.02
기초100제 - 1002 : [기초-출력] 출력하기02(설명) 시도 1: print('Hello World') 결과 1: 분석 1: ' '(공백)을 문자로 인식하여 공백을 포함하여 문장이 출력된다. 2: ,(콤마)를 이용해 두 문자열 사이에 공백을 추가하여 출력할 수 있다. 3: +부호를 이용해 두 문자열을 공백없이 출력할 수 있다. Algorithm/CodeUp - Python 2019.12.02
기초100제 - 1001 : [기초-출력] 출력하기01(설명) 파이썬은 출력을 위해 print()를 사용한다. 시도 1: print(Hello) 결과 1: 분석 1: Hello를 변수로 취급하여 에러 발생 시도 2: print('Hello') 결과 2: 분석 2: 작은 따옴표 안에 Hello 단어를 넣으니 Hello가 출력되었다. 큰 따옴표로 대체하거나 작은/큰 따옴표를 3번 이용하여 출력할 수도 있다. 따옴표 안의 문자는 문자열로 인식한다. Algorithm/CodeUp - Python 2019.12.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