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deal insane

Resistance ∙ Pioneer ∙ 생산자

Algorithm 96

기초 100제 - 1034 : [기초-출력변환] 8진 정수 1개 입력받아 10진수로 출력하기(설명)

먼저 *고생한 내 풀이를 공개한다. 코드 해석: 1. 8진수를 입력받아 변수 'a'에 저장한다. 2. 변수 'a'의 담은 입력값의 데이터 타입을 정수로 바꿔 변수 'b'에 저장한다. 3. n은 while 반복문을 위해 지정한 변수이다. 4. while 반복문 안에서 8진수를 10진수로 변환할 것이며, 그때 10진수를 리스트 e에 담을 것이다. 그래서 e를 리스트로 지정?했다. 5~10. 8진수의 자릿수마다 따로 10진수로 변환할 것이다. 자릿수를 len(a)로 알아내고 그만큼 '%'는 나머지를 구하는 연산자이다. 8진수의 가장 왼쪽 자릿수부터 10진수로 변환하기 위해 6번 줄을 통해 왼쪽 자릿수의 수를 변수 'c'에 저장한다. 가장 왼쪽 자릿수는 8의 0 제곱이고 자릿수가 커질 때마다 제곱의 수가 증가되..

기초 100제 - 1030 : [기초-데이터형] 정수 1개 입력받아 그대로 출력하기3(설명)

설명을 보면 c언어는 int, longlong 등 데이터형에 범위가 있고, 이것 때문에 나온 문제 같은데 파이썬은 int 데이터형에 범위가 없는 거 같다. 파이썬2에서는 int의 범위를 초과하면 데이터 타입이 long으로 바뀌지만 파이썬3는 범위를 넘어도 int형으로 취급한다고 한다. 정말 큰 수를 입력해도 잘 출력된다. (물론 문제에는 입력되는 정수의 범위가 있지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