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deal insane

Resistance ∙ Pioneer ∙ 생산자

Algorithm 96

기초 100제 - 1019 : [기초-입출력] 연월일 입력받아 그대로 출력하기

이번에는 '.'을 기준으로 입력값을 나누어 연,월,일 총 3가지를 변수에 담아야한다. 주의할 점은 1자리 수의 월이나 일이 입력됬을 때 출력시 앞에 0을 붙여 두자리로 맞추어야 한다. 이때 '%02d'를 사용해 2칸을 사용해 출력하는데 한자리 수인 경우 앞에 0을 붙여 출력한다. 연도도 '%04d'를 사용해 4자리로 맞춰야 한다. '314.1.5'를 입력값으로 주었을 때 형식을 맞춰 출력되었다.

기초 100제 - 1015 : [기초-입출력] 실수 입력받아 둘째 자리까지 출력하기(설명)

실수 한개를 입력받고, 소수점 셋 째 자리에서 반올림하여 소수점 이하 둘 째 자리까지 출력해야한다. 1012의 확장이다. ' %.mf '일때 소수점 아래 m+1자리에서 반올림하여 m자리까지 나타낸다는 의미이다. 1. 입력을 받는다. 2. 입력 받은 값을 실수형으로 만든다. 3. 소수점 이하 셋 째 자리에서 반올림 해, 소수점 이하 둘째 자리까지 출력한다. '3.141592' 와 '5.678'을 입력값으로 했을 때 조건을 만족하여 출력된다.

기초 100제 - 1013 : [기초-입출력] 정수 2개 입력받아 그대로 출력하기(설명)

입력 조건: 2개의 정수가 공백으로 구분되어 입력된다. 출력 조건: 입력된 두 정수를 공백으로 구분하여 출력한다. 공백을 기준으로 입력되고 출력되니 사실 a=input(), print(a) 해도 정확한 풀이로 인식하긴 하지만 문제의 의도는 공백을 기준으로 정수를 나누는 것이다. 이때 split() 함수를 쓴다. split()는 괄호 안의 기호를 기준으로 나누는 함수이다. 기본값은 공백이다. 2가지 방법 중 첫 번째는 리스트를 활용하는 것이다. 변수? a로 입력값을 받아 split()으로 나누면 a를 리스트로 인식해 공백을 기준으로 나눠진 것들을 a[0]부터 차례대로 담는다. 두 번째는 입력값의 형태를 알고 있으니 변수 두 개 a, b에 입력값을 하나씩 담는 것이다. 정수형으로 데이터 타입을 변경 후 출력..

기초 100제 - 1012 : [기초-입출력] 실수 1개 입력받아 그대로 출력하기(설명)

문자형이 입력값으로 오는 경우와 다르게 실수값이 입력되는 경우 float() 함수를 이용하여 데이터 타입을 변경해야한다. a=input() a=float(a) print(a) 위 코드로 제출해보면 잘못된 풀이로 나온다. 머리아프게 소수점 6자리까지 표현해야한다. 파이썬에서 문자열 포매팅을 이용하여 출력을 제어할 수 있다. 문자열 포매팅이란 문자열 안에 어떤 값을 삽입하는 방법이다. 이때 아래와 같은 문자열 포맷코드가 필요하다. 여러가지 쓰임새가 있지만 이 문제에서 다룰 것은 '%f'이다. %f를 이용하여 출력하면 소수점 아래 6자리까지 표현하여 출력할 수 있다. (기본값이 소수점 6자리까지이며 변경가능하다.) a=('%f' %a) print(a) print('%f' %a) a의 표현을 먼저 바꾸고 a를 ..

기초 100제 - 1008 : [기초-출력] 출력하기08(설명)

'\u+유니코드'로 유니코드 특수문자를 출력할 수 있다. 예) print('\u250C') -> ┌ 문자 3개출력후 줄바꿈을 위해 문자 3개마다 \n을 추가했다. 시도 1: print("\u250c\u252c\u2510\n\u251c\u253c\u2524\n\u2514\u2534\u2518") 결과 1: 분석 1: 원하는 문자가 출력되지 않았다. 소스 제출 시 위에 있는 주의사항. 인코딩 문제인 것 같다. 아래 두줄을 추가하여 실행해보면 원하는대로 출력된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