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534 : [기초-함수작성] 함수로 실수(double) 3.1415926535897 리턴하기 c언어의 데이터형 때문에 나온 문제로 보인다. 파이썬은 상관없다. 그냥 리턴값 3.1415926535897을 출력한다. Algorithm/CodeUp - Python 2019.12.19
1533 : [기초-함수작성] 함수로 실수(float) 3.14 리턴하기 문자열 포맷팅 기능을 이용하여 3.14를 반환한다. '%f'를 이용하면 소수점 아래 6자리까지 리턴한다. 리턴값을 출력한다. Algorithm/CodeUp - Python 2019.12.19
1532 : [기초-함수작성] 함수로 정수(long long int) -2147483649 리턴하기 c언어에서 데이터형 때문에 나온 문제인 것 같다. 파이썬은 무관하다. 그냥 리턴값만 -2147483649로 수정한다. Algorithm/CodeUp - Python 2019.12.19
1531 : [기초-함수작성] 함수로 정수(int) 1 리턴하기 전 문제에서 완성된 코드에서 리턴값만 1로 수정하면 된다. Algorithm/CodeUp - Python 2019.12.19
1530 : [기초-함수작성] 함수로 문자 A 리턴하기 return을 이용하라고 한다. 함수 안에 return 코드(2번줄)를 입력하고, 함수를 출력하면 된다. 굳이 왜 이렇게 할까? return 대신 print를 사용하면 더 간단한데. 이 문제에서는 print를 return 대신 사용하는게 더 좋지만, 후에 함수 값을 사용해야 할 상황이 생긴다면 return 값이 필요하다. return과 print의 차이 Algorithm/CodeUp - Python 2019.12.19
1528 : [기초-함수작성] 함수로 *문자 출력하기 1526, 1527 문제와 같다. 출력문만 '*'로 수정해준다. Algorithm/CodeUp - Python 2019.12.19
1527 : [기초-함수작성] 함수로 123 값 출력하기 1526 문제와 같다. 출력 문자열만 '123'으로 변경하면 된다. Algorithm/CodeUp - Python 2019.12.19
1526 : [기초-함수작성] 함수로 hello 문자열 출력하기 함수를 만들 때는 definition을 의미하는 키워드 def를 사용한다. 사용방법은 def 뒤에 '함수이름():' 형식으로 코드를 작성하고 다음 줄부터 함수가 처리할 코드만큼 들여쓰기하여 표기한다. 함수를 사용할 때는 '함수이름()'을 통해 함수를 호출할 수 있다. Algorithm/CodeUp - Python 2019.12.19